EC2 프리 티어를 사용하다 보니까 메모리 공간이 부족해서 Spring 서버와 MySQL을 함께 띄우면 자꾸 죽는 현상이 발생했다. 그래서 메모리 공간을 먼저 늘려주었다.
A. 디스크 용량 증가
(30GB까지 무료 → 바뀔 수 있으므로 공식 자료 확인하기)
https://aws.amazon.com/ko/ebs/pricing/?nc1=h_ls
고성능 블록 스토리지 – Amazon EBS 요금 – Amazon Web Services
시작하기 Amazon EBS를 시작하는 방법 알아보기
aws.amazon.com
EBS(EC2 디스크) 볼륨 수정하기
- EC2 > 볼륨으로 들어간 후 크기 수정하기 (30 GB까지 무료)

2. sudo reboot로 EC2 서버 재부팅 시켜주기

이 작업은 시간이 좀 소요되기에 바로 접속하면 timeout 뜨고 2분 정도 후에 연결해야 연결이 된다.
3. df -h로 디스크 용량 늘어난 것 확인하기

/dev/root의 size가 원래 6.9G에서 29G까지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B. EC2 Swap memory 설정
- swapfile 메모리 할당 (128M * 16 = 2048 = 2GB)
swapfile을 2GB로 생성한다. (스왑 메모리는 램 메모리의 2배 혹은 그 이상을 추천, 프리티어의 램 메모리는 1GB)
sudo dd if=/dev/zero of=/swapfile bs=128M count=16
이 명령어는 수행 시간이 좀 걸리니까 ^C하지말고 좀 기다리기
2. 생성된 swapfile의 권한 설정 (읽기, 쓰기)
sudo chmod 600 /swapfile
3. swap 공간 생성
mkswap 명령어로 스왑 공간 생성
sudo mkswap /swapfile
4. 생성한 swap 공간에 swapfile 추가
sudo swapon /swapfile
5. 정상 동작 되었는지 확인
sudo swapon -s
++추후 스왑 영역 비활성화하고 싶다면 ?
sudo swapoff -a
6. swap 파일 시스템 설정
시스템 부팅 시마다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파일 시스템 수정
sudo vi /etc/fstab
아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.
/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
7.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상태를 확인해보자
설정 전

설정 후

끝 !
'개발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#46] Redis 특징과 사용 이유 / 타입에 따른 명령어 정리 (0) | 2025.03.04 |
---|---|
[TIL#45] Docker 사용 이유 / 가상 머신과 비교 (1) | 2025.02.27 |
[TIL#43] 배달 주문 플랫폼 팀 프로젝트 설계 (0) | 2025.02.12 |
[TIL#42] Spring MSA 설계 및 실습 (0) | 2025.02.11 |
[TIL#41] 칸반보드 팀 프로젝트 회고 (0) | 2024.07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