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/git

[Git] Git 필수 기초 명령어

서해쭈꾸미 2024. 4. 19. 20:19

git 명령어는 터미널에 입력하면 되는데 터미널을 git bash로 꼭 바꿔주고 시작해야한다 !

 

 

git init

코드 관리를 시작하는 명령어

 

프로젝트 시작 전 딱 한번만 입력하면 된다. 여러번 입력해도 문제는 딱히 안 생긴다.

정확한 프로젝트 폴더 (경로)에서 입력해야하니 pwd로 현재 경로 확인해보고 입력하는 걸 추천한다.

터미널 창에 git init을 입력하면 .git이라는 폴더가 생기는데 (실제로 보이진 않음) 걔가 코드 변경을 git에서 추적하기 시작한다.

 

사용법

git init

 

 

 

 

 

git add

코드를 저장하려고 준비하는 명령어

 

저장하기 전 .html , .css등과 같은 저장할 파일이 뭔지 지정하는 명령어이다.

 

사용법

git add 파일명

 

 

 

 

 

git commit

코드를 실제로 저장하는 명령어 

 

add 해뒀던 파일을 실제로 저장하는 명령어이다.

 

사용법

git commit -m "메세지 작성 (파일명 + 메모 등)"

 

 

⇒ 변경된 파일이 여러개여도 하나 하나 다 add 후 commit 해줘야하나 ?

프로젝트의 변경사항을 한번에 지정하는 방법 !

git add . 
git commit -m “메세지 작성”

 

이렇게 두 명령어를 순서대로 적으면 된다.

 

 

 

 

git status

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

 

 

사용법

git status

 

 

 

 

 

git log

저장 내역을 확인하는 명령어

 

이 명령어를 사용하면, 그동안 커밋한 내역들이 다 나온다. 나온 커밋 메시지로 코드 변경점을 추측 가능하다.

 

사용법

git lo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