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 한 공부 키워드 !
- JVM
- 자바 변수
- 자바 연산자
- 조건문, 반복문
- 배열, 컬렉션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자바의 장점 / JVM 구성
[Java] 자바의 장점 / JVM 구성
자바의 핵심기능 C언어 기능 + 공통 실행환경 (JVM) + 클래스 + 객체 자바 장점 아래와 같은 많은 장점들이 내가 Java를 주력 언어로 배우기 시작한 이유이다. 1. 공통 실행 환경(JVM)이 있기때문에 여
ggumijju.tistory.com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변수
[Java] 변수
상수 표현 final 붙이기 ! final int num = 10; 기본형 변수 boolean / char / 정수 / 실수 정수형 변수의 long은 뒤에 접미사 L을 붙여줌. long longnum = 1234L; 실수형 변수의 float는 뒤에 접미사 f를 붙여줌. float flo
ggumijju.tistory.com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사용자에게 값 입력 받기
[Java] 사용자에게 값 입력 받기
입력 Scanner 객체의 next() 명령을 사용해 입력 받음. 사용자에게 입력값 받아 출력하기 (숫자)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//Scanner
ggumijju.tistory.com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연산자
[Java] 연산자
연산자 1. 산술 연산자 +, -, *, /, %(나머지 연산), >>,
ggumijju.tistory.com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조건문 / 반복문 / break / continue
[Java] 조건문 / 반복문 / break / continue
조건문 1.if 문 if("조건") { } else if { } else{ } 2.switch문 //break;문을 꼭 넣어줘야함. //마지막엔 default : 명시해주기 (조건 모두 불만족시 default) switch("변수") { case "조건" : break; case "조건" : break; default :
ggumijju.tistory.com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배열 / 얕은 복사 / 깊은 복사 / 다차원 배열
[Java] 배열 / 얕은 복사 / 깊은 복사 / 다차원 배열
배열 배열은 참조형 변수들처럼 new 명령어를 통해서 생성됨. 대괄호 안에 크기 지정해주기 배열은 생성될 때 각 타입별 초기값으로 초기화 되어 채워짐 (int는 0, boolean은 false, String은 null) //선언
ggumijju.tistory.com
2024.04.22 - [개발/Java] - [Java] 컬렉션
[Java] 컬렉션
Java의 자료구조인 컬렉션의 종류와 사용법 및 간단한 특징들을 정리해보았다. 컬렉션 (List, Set, Queue, Map) 종류와 특징 - 컬렉션은 참조형 변수이다 ! 1. List :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(중복가능)
ggumijju.tistory.com
회고
자바 문법을 3년 전에 조금 공부하고 그 이후로 안 써서 다 까먹었었는데 오늘 공부하면서 다시 사용법을 익혔다. 그동안은 자바 문법에 초점을 맞춰서 공부하느라 자바라는 언어가 어떠한 기능들로 구성되어있고 JVM과 JDK가 정확히 뭔지,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몰랐었다. 자바를 앞으로 내 주력 언어로 사용할 생각이면서 그런 근본적인걸 모른다는 게 말이 안 되는 것 같아 이번에 제대로 공부하면서 명확하게 알게 되었다.
그리고 역시 언어는 사용하지 않으면 까먹는구나..
'개발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#6] 제네릭(Generic) 문법 / TIL에 대한 고민 / 기쁜 소식 ! (0) | 2024.04.25 |
---|---|
[TIL#5]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0) | 2024.04.24 |
[TIL#3] 내일배움캠프 미니 팀 프로젝트 회고 (4) | 2024.04.19 |
[TIL#2] 자료구조 / 네트워크 공부 + 미니 팀 프로젝트 중간 회고 (0) | 2024.04.18 |
[TIL#1] 운영체제 / 데이터 베이스 공부 (0) | 2024.04.17 |